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전체메뉴
닫기

위탁연구

서울교육방향 추진 및 전략과제 해결을 위해 전문연구기관에 위탁하여 수행되는 연구

위탁연구 상세 항목
제목 [서교연2019-36]2019 위탁연구(서울형혁신학교 성과 분석 및 운영 개선을 위한 국제협력연구) 최종보고서
작성자 방희경 작성일 2024-03-19
공공누리적용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이(가) 창작한 [서교연2019-36]2019 위탁연구(서울형혁신학교 성과 분석 및 운영 개선을 위한 국제협력연구) 최종보고서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미리보기 파일확장자 아이콘 [서교연2019-36]2019 위탁연구(서울형혁신학교 성과 분석 및 운영 개선을 위한 국제협력연구) 최종보고서.pdf
이 연구는 서울형혁신학교의 성과와 한계에 관한 국제협력연구로 본 연구는 총 2년 연구의 1단계인 1차년 연구이다. 2개년에 걸쳐 수행되는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혁신학교정책을 국제협력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정책의 현 단계 성과 및 한계를 보다 거시적이고 보편적인 맥락에서 검토하고, 한국형 학교 혁신모델로서 혁신학교 위상을 명확히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둘째, 학교개혁에 대한 국제비교/협력연구를 수행해 온 해외의 저명 전문 연구 팀과 협력적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국제적 관점에서 한국 혁신학교 운동을 객관 적으로 점검하고 중요한 성과들을 대외적으로 홍보?확산하고자 한다. 셋째, 국제협력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분석을 기초로 혁신학교에서의 교육과정, 수업, 평가 혁신에 심층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 정책 개선 방안에 대한 세부 계 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국내 연구진과 외국 연구진이 협업적으로 공동의 연구분석틀 및 면 담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공동으로 학교 참관과 관계자 면담을 수행하고 분석하 는 절차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주요 절차는 아래와 같다. 첫째는 연구 전체를 이끌 분석틀 개발을 위한 문헌연구를 수행했다. 이에는 한 국 교육문화와 서울형혁신학교 이해를 위한 공동 문헌 연구 및 분석, 서울형혁신 학교의 제도, 변화프로세스, 성과 분석을 위한 공동 연구분석틀 개발, 서울형혁신 학교 관계자 면담을 위한 프로토콜 개발 등이 포함된다. 둘째는 서울형혁신학교 현황 파악을 위한 현장 연구를 수행했다. 현장조사에서 는 학교참관(초중등 혁신학교 중 심화 연구 학교 선정) 및 면담(교원, 학생, 학부 모 면담)이 수행되었다. 1차년연구에서 국내팀은 서울형중등혁신학교 55개에 대 한 전수조사를 수행했고, 국외팀은 2주간(2019.10.14-25) 한국을 방문하여 16개 학교에 대한 심층 조사를 실시했다. 셋째, 연구과정과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혁신학교 관계자들을 대 상으로 의견수렴 및 연구중간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워크숍, FGI 간담회 등을 실 시했다. 1차년 연구에서는 서울형중등혁신학교를 중심으로 1) 국내팀에 의한 전수 방 문 면담 조사, 2) 국외팀에 의한 16개 학교 심층 면담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 를 분석하였다. 2차년 연구에서는 1차년 연구에서 조사된 자료들에 대한 심층적 분석과 함께 서울형초등혁신학교와 서울형중등혁신학교에 대한 설문조사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1차년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수행했다. 첫째 서울형중등혁신학교에 대한 55개교 전수조사를 통해 학교문화, 교사전문 성 개발, 수업의 특징, 학생의 변화 등을 중심으로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둘째 서울형중등혁신학교들의 특징을 기초로 하여 학교들을 유형화하는 기준 을 주도성과 혁신성의 관점에서 도출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국외팀과 협력적으로 이루어진 16개 학교에 대한 심층연구를 통해 국제 학교개혁운동의 흐름 속에서 혁신학교 사례가 지닌 특징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 고 그 주요 특징에 대한 사례분석 및 사례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1차년에 국내외팀에 의해 이루어진 자료조사에 기반하여 정책 개선을 위 한 주요 방향을 제언했다. 1차년 연구의 결과에 기초한 주요 제언 내용은 아래와 같다. ① 혁신리더십의 형성과 지속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함(학교장, 교 감, 혁신주도교사리더십 강화를 위한 제도 방안) ② 혁신학교 간 네트워킹이 실질화되어야 함(교육청의 네트워크 지원 강화) ③ 업무경감 방식에 대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함(업무경감을 위한 교육청-단위 학교 업무 재구조화 및 시스템 전환) ④ 학교간의 차이에 따른 차별화된 대응전략이 필요함(학교별 발전유형에 따른 맞춤형 교육 지원 강화)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서교연2018-73]환경폐기물관리교육방안
  • 담당부서   교육정책연구소
  • 담당자   방희경
  • 전화   02-3111-304
TOP